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교육의 변화3

4차산업혁명시대에 따른 학교 교육의 방향 인류의 역사가 변화함에 따라 교육의 주제도 바뀌어 갑니다.수렵·채집 시대에는 수렵과 채집을 잘 하는 기술을 익히면 되었습니다.농경시대가 되면서 분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목수, 대장장이 등 세부 직업군에 대한 도제식 교육이 발전하였습니다.산업혁명이 도래하면서 공장이나 사무실에서 일하기 위해 읽고, 쓰고, 계산하는 능력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정량적, 수치적, 논리적 사고가 필요하여 이 시기에 수학이 필수 교과목이 되었습니다.우리나라의 경우 영어가 초등학교 필수 교과목으로 자리잡은 것도 얼마 되지 않았습니다.저의 세대만 해도, 영어는 중학교에서 알파벳부터 배우기 시작했으며, 지금만큼 영어에 열을 올리지도 않았던 기억이 납니다.글로벌 시대가 도래하면서 외국인과 함께 공부하고 일하게 되고, 인터넷 혁명으로 해외 .. 2018. 1. 26.
대학 - 변화의 움직임 “앞으로 15년 후 대학의 절반 가량이 문을 닫을 것이다.대학의 경쟁력이 떨어지는 것이 가장 큰 이유이다.”-구글이 선정한 세계 최고의 미래학자 토머스 프레이’ 대학의 경쟁력이 떨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가장 큰 이유는 아마도 높은 대학 학비에도 불구하고 채용과 연계되지 않으며, 채용이 되었다 하더라도 실무와 동떨어진 교육으로 인해 실무에 대한 재교육이 필요하기 때문일 것입니다.과거에는 좋은 대학이 좋은 직업을 평생 보장 해주고, 4년간 대학에서 배운 교육으로 평생을 먹고 살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지금과 같은 형태의 대학 교육은 더 이상 우리의 삶과 미래를 보장 해주지 못합니다. 미래의 직업과 인재상이 변함에 따라 교육이 변해야 하고, 대학도 변해야 하는 시대를 맞이하게 된 것입니다. 교육 비용.. 2018. 1. 25.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교육, 소셜러닝 우리는 지식의 홍수 시대에 살아가고 있습니다.4차산업혁명시대, 빠른 환경 변화와 비약적인 기술의 발전으로 하루에 생산되는 새로운 지식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아무리 전문가라고 해도 이러한 지식 양과 속도를 따라잡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기존 강사 중심의 일방향 교육방식으로는 학생들을 가르치는데 무리가 있습니다. 기존의 정형적인 강사 중심의 일방향 전달 체계가 아닌 양방향 전달체계가 필요하며, 한 사람에 의존하는 콘텐츠 생산 구조가 아닌 집단으로 콘텐츠를 생산해낼 수 있는 채널이 필요합니다. 콘텐츠 제작에 대중을 참여시켜 방대하고 빠른 지식의 양과 속도를 따라잡고자 하는 것입니다. 속도의 시대에, 새로운 지식에 대한 즉각적인 교육을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그러나, 기존의 교육기관의 .. 2018. 1. 25.
반응형